• HOME
  • 구분점
  • LOGIN
  • 구분점
  • JOIN
  • 구분점
  • SITEMAP

구제역 상황실

  • Home
  • 게시판
  • 구제역 상황실

[양돈연구9]구제역 바이러스 분비와 배설

  • 한병우
  • 2020-07-01 10:01:54
  • 조회 : 1,017
양돈연구 원고 9
구제역 바이러스 분비와 배설
구제역 전파 이해를 위한 감염동물에서의 바이러스의 배설과 분비
 
구제역 바이러스는 여러 경로로 전파될 수 있으며 특히 동물들간의 직접 접촉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러스는 여러 간접 경로로 전파 될 수 있다. EU에서는 구제역 발생 시 동물 이동의 의무적 중단이 적용된다. 이와 같은 이동 금지 기간 중, 한 농장의 감염된 개체와 다른 농장의 비감염 개체간의 접촉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며, 감염의 가장 가능성 있는 경로로 오염된 물질들과의 간접 접촉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기 전염도 고려될 수 있다.(1)
 구제역 유행 중, 동물 이동의 완전한 정지된 때에서도 농장간 전파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한 전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간접 경로는 1982년 덴마크, 1993년 이태리 모두에서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에 오염된 외과 기구의 사용 또는 감염 농장 방문 후 농장 방문으로 수의사가 관련되어 있었다고 기록 되어 있다. 유사하게, 2001년 영국에서 발생 중, 양떼간 바이러스 전파에 사양가들이 관련되어 있음이 제기 되었다. 2001년 영국에서 구제역 발생시 감염 재발생 수(R0)가 1 이상으로 동물 이동이 금지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전파가 계속 이어졌다. 따라서 구제역 바이러스의 간접 전파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1)
 구제역 바이러스의 간접 전파 위험성은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로부터 분비물과 배설물에 의한 오염으로 일반 환경에 많은 량의 구제역 바이러스가 존재함과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비는 분비선으로부터 방출되는 물질(예, 유즙, 정액, 침)을 포함하며 배설물은 동물로부터 배출되는 기타 모든 물질들을(예, 분변, 호흡기로부터 발출되는 모든 물질, 오줌, 프로방 시료, 비강 분비물, 및 혈액)을 지칭한다.(1)
 
구제역 바이러스의 간접 전파 위험성이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로부터 분비 및 배설로 인해 오염된 환경에 존재하는 총 구제역 바이러스 량과 관련될 수 있다는 추정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구제역에 감염된 동물로부터 배설 또는 분비되는 바이러스 추정량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구제역이 법정 전염병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국가 기관에 의해 시행되고 구제역 관련 정보, 자료 역시 정부 주도로 발표되게 된다. 2010-2011 구제역이 대 유행한 후 발간된 주요 발간물(2,3,4)에 따르면 돼지는 소에 비해 바이러스 배출량이 1000배 이상 많은 것으로 되어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병변 물질, 침, 유즙, 분변, 오줌, 콧물 및 내쉬는 숨에 의해 객관적 존재물이 된다. 전염성 시기는 임상 증상이 발현되기 약 24시간 전에 보통 시작된다. 전파 수준은 바이러스 역가가 저하되고 첫 항체 발현과 일치하는, 병변 발현 5-7일 후에 급격하게 떨어진다. 전파 위험성을 추정함에 있어 가장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감염 동물에 의해 일반 환경으로 방출되는 바이러스 총 량 이다. 다음 오염 바이러스가 미감염 동물에 도달할 확률을 고려하는 것이다.(5)
 흔히 돼지가 분무질 형태의 바이러스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시키게 되고, 소와 양이 그 뒤를 잇게 된다. 그러나 구제역에 걸린 소가 모든 축종 중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의 최대 생산자이다. 낼 숨 이외 한 마리의 감염된 소는 질병 첫 1주간 배설물(분변, 오줌), 분비물(유즙), 침, 물집 상피 탈락물 및 수포액으로 약 100억 IU 이상으로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돼지와 양에 의해 배설되는 바이러스 총량은 소에 의한 것보다 훨씬 적은 수준이다.(5)
 
“분비물과 배설물의 형태”과 “축종”간의 상호 작용은 축종은 구제역 바이러스의 최대 역가와 특정 축종에 연관된 분비물과 배설물의 형태들 즉 “분비물과 배설물의 형태”와의 관계에 영향을 줌을 보여 준다. 이전 연구에서 보여준 것과 같이, 공기 전염 경로에 대하여, 돼지에 의해 더 많은 바이러스들이 배설한다.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다른 경로에 대하여, 주요 바이러스의 분비 및 배설 축종은 소이다. 이러한 사항은 본 연구에 의해 확인되었다.(fig 1) 데이터 모음은 소의 상부 호흡기도의 분비물과 배설물은 아주 많은 량(바이러스 역가/ml)의 구제역 바이러스를, 경우에 따라 돼지로부터의 공기 전염 배설물(바이러스 역가/일)이 함유한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여 주고 있다.  소에서 구제역의 주요 임상 증상 중 하나는 심한 유연증 임을 고려했을 때 구제역 바이러스를 함유한 대량의 침은 감염 농장의 바닥에서 관찰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농장의 기구(사료, 수의 기구 등)들을 오염시킬 수 있고 따라서 농장간 바이러스 전파의 중요한 전파 매체가 될 수 있다. 이외,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후 우유 생산이 감소한다 할지라도 감염된 소는 1일 12-16 리터의 우유를 생산 할 수 있음은 우유로 분비되는 총 바이러스 량이 돼지로부터 공기 전염원으로 배설되는 총량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4 10log 만큼 높음을 의미한다.(1)
 
 

소의 경우 1일 약 98-190리터의 침을 흘리며 구제역에 걸리 소의 침 ml 당 106.0 – 108.8 역가의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어 이론적으로 침으로만 분비되는 바이러스 량은 1011.3 – 1014.1이다.(6)
 
참고 문헌
 
  1. Carla Bravo de Rueda, Aldo Dekker, Phaedra L. Elbé, Mart C.M. de Jong, 2014, Identific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increased excre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pre vet med 113 23-33
  2. 2010-2011 구제역 백서 2011 농촌경제연구원 61쪽
  3. 2010-2011 구제역 역학조사 보고서 2011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검역본부 역학조사위원회 60쪽
  4. 2011 구제역 백서 2011 경기도 66쪽
  5. Paul Sutmoller et. Al., 2003 Control and eradica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res 91 101-144
  6. S. Alexandersen, et al., 2003 review the pathogenesis and diagnosis of foot-and-mouth disease, J. Comp. Path. Vol 129, 1-36

  등록된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