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공지사항
양돈뉴스
자유게시판
구제역 상황실
구제역 상황실
게시판
구제역 상황실
[양돈연구2]준임상형과 지속형 감염(subclinical and persistent infections)(1)
한병우
2020-07-01 09:50:19
조회 : 991
양돈연구 원고 2
준임상형과 지속형 감염(subclinical and persistent infections)(1)
1
st
edition
일반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 된 동물들은 보통 바이러스에 노출된 다음 1-4일 후에 임상 증상을 보인다. 그러나 일부 동물들은 고열이나 뚜렷한 병변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동물들은 구제역의 임상 증상이 발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바이러스를 배설할 수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에 의한 불현성(inapparent) 감염은 2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감염되어 임상 증상을 보이지 않으면서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동물과 둘째 임상 증상 형 구제역으로부터 회복된 후 바이러스가 지속으로 확인 되는 동물(Sutmoller and casas, 2002)이 그것이다.
구제역 바이러스에 지속형으로 감염된 동물들은 최소 28일 동안 바이러스 양성인 개체들로 정의(Sutmoller et al., 1968)되고 보통은 보독 개체(carrier)로 지칭한다. 지속형으로 감염된 동물들은 연관 바이러스 계통과 축종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반추류의 인두(pharynx)로부터 단지 낮은 수준으로 바이러스를 배설함을 보여준다.(Salt, 1993) 지속형 감염의 최대 지속 기간은 양에서 4개월부터 아프리카 물소(Syncerus caffer)에서의 5년까지의 범주이다.(Alexandersen et al., 2002b) 돼지에서 구제역 바이러스 지속형은 실증되지 않았으며 아시아 물소(Bubalus bubalis)에서 지속형에 대한 정보는 없다.(Alexandersen et al., 2002b)
보독 개체로부터 감수성 숙주로의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는 야외 상황하에서 아프리카 물소에서 소와 아프리카산 영양(임팔라; Aepyceros melampus)에게로 보여준 것 뿐 이다.(Bastos et al., 2000; Dawe et al., 1994) 그러나 실험실 조건하에서, 비록 실제 상황에서 이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할 지라도(Alexandersen et al., 2002b), 보독 동물로부터 채취한 침을 소와 돼지에게 주사함은 감염의 요인이 되었다.
지속형으로 감염된 동물들과 달리, 준임상형 감염 즉 뚜렷한 임상 증상이 발현되지 않은 상태로 감염 된 동물은 고도로 전염성이 있을 수 있다.(Gibbens et al., 2001; Holzhauer et al., 2001) 숙주의 면역 상태 이외, 또한 관련된 구제역 바이러스 계통이 질병의 준임상형 경과에 한 몫을 한다.(Bouma and Dekker, 2002) 저하된 독성을 보여주는(Sa-Carvalho et al., 1997) 백신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된다면, 준임상형 감염이 또한 나타날 수 있다. 예로, 백신 바이러스가 요인이 되었던(Enserink, 2007) 영국에서 2007년 구제역 발생 기간 중, 단지 소수의 감염 개체들만 증상을 보여 주었다.
준임상형 감염은 또한 고도 면역된 개체에 고도의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또는 예방 접종 역가가 낮은 개체에 가벼운 감염으로 예방 접종 반추 동물 군에서 발생할 수 있다.(Hutber et al., 1999; Yadin et al., 2007) 그와 같은 개체들이 보독 개체가 될 가능성은 조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체들이 구제역 상재국에서 구제역이 유지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Kitching, 2005)
준임상형 감염 전파의 실례 : 2001년 네델란드 구제역 유입 과정에서의 송아지 감염(2)
2001년 3월 15일, 네델란드에서 한 임상 수의사가 Gelderland 지역 Oene의 착유 염소와 송아지 복합 농장에서 구제역 의심 증상을 신고하였다. RVV 전문가팀이 이 농장에 파견되어 일부 염소들이 고열, 급성 파행증, 입 내부와 유두 및 발 관상대의 수포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 가검물로 실험실 진단은 ELISA 항원 검사에서 음성이었다. 2001년 3월 16일 추가적으로 일부 염소에서 수포 증상을 보였다. Institute of animal science and health ID-Lelystad에서 시행된 병리학적 검사는 비록 ELISA 항원 검사가 결정적이지 않았지만 구제역으로 진단했다. 이 농장의 모든 동물을 살처분 결정이 내려졌고 3월 17일 이행되었다.
2001년 3월 20일, Olst의 한 착유 농장이 구제역 임상 증상을 신고하였다. RVV 전문가 팀은 이 농장의 성우들에서 특징적인 구제역 병변을 발견하였고 다음날 ID-Lelystad 실험실은 ELISA 항원 조사로 구제역을 확인하였다.(case 2001/1)
3월 21일, 두번째 농장이 구제역을 신고하였다. 이 농장은 Welsum에 위치하였으며 Oene에 위치한 염소 농장의 소유자의 형제 소유였다. 두번째 발생은 당일 확인되었다.(case 2001/2) Oene에 위치한 염소 농장에서의 발생이 3월 22일 확인되었고 2001/3으로 등록되었다.
염소와 고기 송아지 농장에서, 송아지를 2001년 2월 23일 아일랜드로부터 수입하였다. 2001년 2월 21일, 이 송아지들은 아일랜드로부터 수출 선적되어 2001년 2월 22일 프랑스령 Mayenne에 있는 기항지에서 쉬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일치하여, 영국 Llangarron에 위치한 감염 농장(영국 발생번호 2001/11)으로부터 수입한 양들이 이 기항지에 머물렀었다. 후에 이 양들 중 상당수가 혈청학적으로 양성인 것으로 밝혀 졌다. 아일랜드로부터 배송된 송아지들은 Noord Brabant Province의 Sprang-Capelle에 있는 농장을 목적지로 하는 송아지 250두로 구성되었다. 이 곳으로부터 75두의 송아지들이 Oene에 위치한 농장으로 이송되었고 85두는 Province of Gelderland의 Beesd에 위치한 농장으로 이송되었다. Sprang-Capelle과 Beesd에 위치한 농장들의 동물들을 사전에 예방적으로 살처분 하였다. 이 송아지들은 구제역에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Oene에 위치한 농장의 75두의 송아지로부터 채취한 5시료들이 혈청학적으로 양성이었다. 이러한 동물로부터 임상증상의 기록이 전혀 없었다. 2001/3 사례로부터 분리된 바이러스로 시행된 염기 서열 분석은 영국 사례 2001/6의 바이러스와 동일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준임상 감염이 의심되고 전파가 안된 형태의 감염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고자 네델란드에서 송아지를 이용한 감염 및 전파 시험을 실시하였다.(4) 결과 바이러스가 감염 송아지와 접촉한 송아지에게로 전파되지 않음을 보여 주었으며, 대부분의 송아지들이 접종 감염에 대해 육안적 검사 없이 사양가와 수의사에 의해 쉽게 인지될 구제역의 뚜렷한 육안적 임상 증상의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사양가가 매일 정상적으로 송아지를 세밀히 검사하지 않기 때문에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을 쉽게 놓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 문헌
P. Sutmoller and R. Casas. Olascoaga. 2002. Unapparent foot and mouth disease infection(sub-clinical infections and carriers): implications for control. Rev. sci. tech. Off. Int. Epiz., 21(3) 519-529
Joern Klein 2009 review understanding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Infection, genetics and evolution 9:153-161
F.H Pluimers et al., 2002 Lessons from the foot and mouth disease outbreak in the Netherlands in 2001. Rev sci tech off int epiz 21(3) 711-721
Annemarie Bouma et al., 2004 no fmd virus transmission between individually housed calves Vet Mic 98 29-36
등록된 댓글(0)
댓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스팸방지:
자유롭게 의견을 기재 해 주세요! 욕설,비방,광고글은 불가하며, 예고없이 삭제됩니다!!
이전
다음
목록
수정
삭제
답글
글쓰기